언제, 어디서든, 
나를 잃지 말기 


Stay True to Yourself 






나희균, <지붕>, 1958, 캔버스에 유화물감, 73×99cm, 국립현대미술관
Na Heekyune, Roof, 1958, oil on canvas, 73×99cm, MMCA Collection







언제, 어디서든, 나를 잃지 말기

나희균, <지붕>, (1958)




미술관에서 근무하면서 두 건의 프로젝트에 동시에 참여한 적이 있었다. 하나는 유학을 떠난 근대 한국 작가들에 대한 리서치, 또 하나는 김환기에 관한 것이었다. 덕분에 온라인으로 유럽을 누비며 수많은 작품을 살펴볼 수 있었고, 김환기의 생애와 작품 세계에 대해 파고들면서 다시금 그의 작품이 왜 명작이고 세계가 열광하는지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그보다도 흥미로웠던 것은 이 두 가지 일에서 발견한 교집합이었다. 바로 김환기(1913-1974)와 나희균(1932~). 

김환기는 1956년부터 약 3년간 파리에서 활동했고, 나희균은 1955년부터 1957년까지 파리에 머물며 에콜 데 보자르(École des Beaux-Arts)에서 수학한 후 1958년 귀국했다. 1950년대의 불란서, 프랑스 파리는 곧 미술의 중심으로 국내에서는 《대한민국미술전람회》의 수상 특전으로 파리에 체류할 기회가 주어질 정도였다.¹ 그렇게 파리에 모인 외국인 화가들, 에콜 드 파리(École de Paris)처럼 김환기와 나희균도 도시를 누비며 영감을 얻고 작품을 남겼으리라. 

두 작가의 접점을 발견했던 것은 2020년에 환기미술관에서 개최된  《수화가 만난 사람들 - 나희균, 고요의 빛》 전시와 관련된 기사였다.² 김환기와 나희균이 주고 받은 서신과 김환기&김향안 부부와 나희균이 함께 찍은 사진을 통해 그들이 파리에서 교유했음을 알 수 있었는데, 그 중 인상 깊었던 것은 바로 김환기가 보낸 편지였다.  


“...그래 좋은 예술도 많이 보았겠고, 늘 보고 있을 테니. 희균이도 좋은 그림, 많이 그렸겠지? 그래, 그림은 잘되나? 초조해말고 재주 부리려 말고, 어디까지나 성실하게 일을 해요. 희균이한테는 좋은 것이 있어. 성격은 참한 것 같은데 그림은 거칠거든. 내가 잘 못 본지는 몰라도 그런 것 같아. 이 거칠다는 의미는 나쁘다는 말이 아니야. 아마, 거기 가서, 생각하는 것, 또 그림, 몰라보게 달라졌을 줄 알아요. 달라진 것 대단히 좋지만, 자기라는 본질은 달라질 수 없으니 그걸 잘 생각해서 천 가지 만 가지의 파리에서의 형태에 현혹되지 말아요. 본래대로 잘 정리하란 말이지요...
- 김환기가 나희균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1955년 7월


김환기는 한국과 일본에서 활동 후 아내 김향안과 도불했다. 정확하게는 김향안이 일년 먼저 파리에 도착하여 그의 개인전, 아틀리에 등 생활 기반을 마련했다. 천재 시인의 아내이기도 했던 김향안에 따르는 수식어는 다양하지만, 그 모든 이야기를 뒤로 한 채 리서치를 할수록 느낀 것은 김환기와 김향안은 함께 ‘성장’했다는 것이다.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결혼관이다.) 
아무튼 다시, 1950년-60년대 파리에는 김환기와 나희균 뿐 아니라 김흥수, 권옥연 등 한국 화가들이 유학에 왔고, 그렇게 파리에 모인 예술가들은 귀한 인연을 맺었을 것이다. 나희균은 당시 서울대 미술대학 회화과를 졸업하고 국전에 입선한 주목받던 화가로 20대 중반의 나이에 파리에 유학을 왔다. 나혜석의 조카이자, 안상철 작가의 아내이기도 한 그는 구상부터 추상회화, 네온, 철 등을 활용한 실험적인 입체 작품까지 다양한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우연히 보게 된 이 편지에서, 타지에서 만난 젊은 화가에게 건네는 김환기의 조언이 마음에 들어왔다. 아름다운 건물, 멋진 미술 작품, 그리고 낭만이 있는 화려한 파리에서 나라는 본질을 지키라는 그 말. 

사람은 수도 없이 변한다. 좋아하는 음식, 말투, 취향, 취미, 성격, 시간이 지나면서, 주변 환경에 따라, 그렇게 나를 구성하는 수많은 것들이 갖은 이유로 변한다. 그래서 때로는 “나는 원래 이렇다”라는 말이 오만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그렇지만 그런 변화 속에서도 분명 ‘나’는 있다. 내 자신이 맘에 들 때도, 지우고 새로 시작하고 싶은 적도 있지만, 그래도 결국 이런 나, 저런 나, 그랬던 나, 모든 나를 인정하고 존중해야 진정한 나의 삶을 꾸려나갈 수 있겠지. 

낯설고 화려한 도시 속에서 나를 잃지 말기
파리의 풍경일 이 작품은 차분한 색조 때문인지 덤덤하기도, 어딘지 무심함도 느껴진다. 김환기의 조언을 생각하며 파리에 도착한 젊은 화가의 눈에 비춘 파리를 잠시 상상해본다. 








Stay True to Yourself
Na Heekyune, Roof, 1958




I once worked on two projects simultaneously during my time at the art museum. One was a research project on modern Korean artists who studied abroad, and the other focused on Kim Whanki. Through these projects, I was able to explore beautiful artworks Europe online, and I came to understand more deeply why Kim Whanki’s paintings are considered masterpieces – and why the world is so captivated by them. But What fascinated me even more was the intersection I discovered between the two projects – between Kim Whanki (1913-1974) and Na Heekyune (1932-). 

Kim lived and worked in Paris for about three years starting in 1956, while Na stayed there from 1955 to 1957, studying at the École des Beaux-Arts, and returned to Korea in 1958. In the 1950s, Paris was the undisputed center of the art scene, and in Korea, the winner of the National Art Exhibition were even granted the opportunity to stay in Paris.³ Like many foreign artists who gathered there – the so-called École de Paris – Kim and Na felt the allure of Paris, drawing inspiration and creating works.

I first discovered the connection between the two artists in an article about the 2020 Wanki Museum exhibition Kim Whanki and His Contemporaries Na Hi Kyune, the Light of Silence.⁴ Through the letters they exchanged and a photograph of Kim, his wife Kim Hyang-an, and Na together, I noticed that they had known each other in Paris. What moved me most was a letter Kim sent to Na. 

“ You must have seen – and are still seeing – so many great artworks. I’m sure you’ve created many good pieces. How is your working going? Don’t get anxious, and don’t try to show off your skills – just work sincerely. You have something good in you. Your character feels gentle, yet your painting is rough. I might be wrong, but that's how I see it. And by “rough”, I don’t mean it in a bad way. By now, I imagine that your thoughts, and your painting as well, must have changed greatly in Paris. Change is a wonderful thing – but remember, your essence will never change. Keep that in mind, and don’t let yourself be carried away by the countless forms that Paris presents. Stay true to yourself, and bring it all together in your own way.”
- From a letter Kim Whanki sent to Na heekyune, July 1955


Kim Whanki moved to France with his wife, Kim Hyang-an, after working in Korea and Japan. In fact, it was Hyang-an who arrived in Paris first, a year earlier, to prepare the foundation for their life – arranging his solo exhibition, securing an atelier. Kim Hyang-an, once the wife of the genious poet Lee Sang, was often described with many epithets. Yet the more I researched, the more I felt that, beyond all the labels, Kim Whanki and Kim Hyang-an truly ‘grew’  together. (That is my ideal vision of marriage.) From there, In the 1950s and 60s, Paris attracted many young Korean artists – not only Kim Whanki, but also Kim Heungsou (also known as Kim sou), Kwon Ok-yon, and other who came to study and paint. Gathered in Paris, they must have formed bonds with one another. In her mid‑twenties, Na Heekyune came to Paris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artment of Painting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he had already gained recognition at the National Art Exhibition.  A niece of modern female painter Na Hyesuk and the wife of painter Ahn Sangcheol, she has presented a wide range of works – from figurative to abstract paintings, and experimental sculptures using neon and iron.

In the letter I came across by chance, Kim’s advice to a young painter living aborad stayed with me. His words – to stay true to yourself in Paris, with its beautiful scenery and magnificent art – touched me deeply. 

People change endlessly – our favorite foods, the way we speak, our tastes, hobbies, and even our personalities. Time passes, circumstances shift, and countless element that make up ‘me’ change for all sorts of reasons. Sometimes, saying “this is just who I am” can even feel a little arrogant. Yet within all those changes, there is still my true self. There are moments when I like who I am, and others when I wish I could erase everything and start over. But in the end, I must acknowledge and respect every version of myself – the person I am now, the person I was, and the person I have yet to become – to truly live my own life. 

Stay true to myself in a city both unfamiliar and dazzling. Na’s painting Roof feels calm, perhaps because of its muted tones, and carries a quiet sense of indifference. Looking at it, I imagine Paris through the eyes of a young painter just arriving in the city, with Kim Whanki’s advice lingering in my mind. 


¹  “대통령상은 상금 일백만원과 세계일주여행및 빠리 체재비 육개월분을 지급하며···” 「國展入賞作(국전입상작)발표 大統領賞(대통령상) 朴吉雄(박길웅)작「흔적白(백)-F75」」,  『동아일보』, 1969년 10월 15일자. 
²  박현주, 「나혜석 조카, 화가 나희균을 아십니까?...‘김환기가 만난 사람들’」, 『뉴시스』, 2020년 11월 17일자. 
³ “The Presidential Prize included one million won, a world tour, and six months of living in Paris.” “Announcement of National Art Exhibition Winners: Presidential Prize Awarded to Park Kil‑oung for Trace White – F75,” Dong‑A Ilbo, Oct 15, 1969.
⁴ Park Hyunjoo, “Do You Know Na Heekyune, the Painter and Niece of Na Hyesuk? … The People Kim Whanki Met”, Newsis, Nov 17,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