걱정과 소망
The Woman Before Everything
Park Rehyun, Woman, 1942, ink and color on paper, 94×80.3cm, MMCA Collection
걱정과 소망
박래현, <여인>, (1942)
우향(雨鄕) 박래현(朴崍賢, 1920-1976)은 한국화의 현대화를 모색하며 다양한 조형 실험을 전개한 한국의 대표적인 여성화가다. 그의 작품 <노점>(1956)은 제5회 《대한민국미술전람회》(1956) 대통령상 수상작으로 한국 국립현대미술관의 한국화 부문(회화I) 대표 소장품 중 하나로 손꼽히기도 한다.
그러나 이 글에서 다루고자하는 작품은 입체파의 영향이 돋보이는 그의 대표작이 아닌 일본화의 영향이 두드러지는 박래현의 초기 작품 <여인>(1942)이다. 1920년 평안남도에서 태어난 박래현은 1925년 부모와 함께 전북 군산으로 내려왔다. 보통학교 졸업 이후 경성관립여자사범학교에 입학했고, 이 곳에서 일본인 미술교사인 에구치 게이시로(江口敬四郞)에게 미술을 권유 받았다. 에구치가 박래현의 재능을 알아본 것이다. 박래현은 사범학교를 졸업하고 교사로 재직하면서도 방학에는 에구치에게 미술 지도를 받았고, 이후 스무살이 되던 1939년 도일하여 일본 여자미술전문학교 일본화부에 입학한다. 여자미술전문학교는 천경자, 백남순 등 오늘날의 근대 여성화가가 수학한 당대의 명문학교로 박래현은 재학 중이었던 1943년 제22회 《조선미술전람회》에서 <단장>(1943)으로 총독상을 수상했다. 졸업 후에도 일본에서 머물며 작품 활동을 이어가다 1945년 귀국하여 군산에서 해방을 맞았다.
일본인 화가로부터 받은 권유, 도쿄에서 일본화를 전공한 유학생, 그리고 식민지 조선이라는 시대적 상황 속에서 박래현의 초기 작품은 일본화풍의 여성 인물화가 주를 이룬다. 그러나 해방 이후 한국화단에서 일본화풍의 채색화는 왜색으로 청산해야할 대상이 되었고, 박래현은 서구 모더니즘 양식을 수용하고 다양한 실험을 전개해나가면서 독자적인 화풍을 이루어낸다. 50세가 되던 1969년에는 미국의 프랫 그래픽 아트 센터(Pratt Grapic Art Center)에서 판화를 수학하는 등 57세의 나이에 타계하기 전까지 박래현은 다양한 매체를 넘나들며 자신의 가능성을 끊임없이 확장해나갔다.
박래현은 화가이자 운보 김기창의 아내이자 동료로, 1남 3녀의 엄마로, 또 교육가로 살았다. 제6회 신사임당상(1974)을 수상할 만큼, 그는 가부장제 이데올로기 속 현모양처 이미지에 부합했던 것으로 보이지만 주어진 현실과 시대적 맥락 속에서 많은 역할을 균형 있게 해나가며 꿋꿋하게 자신만의 길을 개척해갔다. 그는 한국화의 지평을 확장한 화가이자, 현모양처이자, 신여성이었다.
다시, <여인>(1942)에 눈이 간 이유는 박래현이 오롯이 박래현일 때 그린 작품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또한 그의 작품 세계가 구상에서 점차 추상으로 변모해나가는 과정에서 이토록 세밀하고 정교한 인물화는 뛰어난 기본기를 증명하는 듯하다. 우리가 떠올리는 파블로 피카소의 대표작은 <아비뇽의 여인들>(1907)과 같은 해체적인 입체파 양식의 작품이지만 실제로 그는 뛰어난 데셍 실력을 가졌었다고 한다. 작가가 자신만의 고유한 스타일을 창조해내는 것에 있어 참신한 아이디어, 주변인과의 교유, 우연과 운 등 다양한 요소가 필요하겠지만, 끊임없이 갈고 닦았던 기본기와 실력이 그 기저에 있던 것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건 비단 미술 뿐 아니라 우리의 인생도 마찬가지 아닐까?
여인 좌상은 당대 많은 화가들이 그린 인기 소재였지만 박래현의 <여인>에서와 같이 뒷모습을 구도로 한 것은 흔치 않다. 섬세하게 표현된 여인의 고운 머리와 한복, 하지만 여인의 얼굴에는 어딘가 고민과 슬픔이 엿보이며, 오른 손에 들고 있는 종이학에 눈길이 간다. 어린 시절 종이학을 1천 마리를 접어 선물을 하면 소원이 이루어진다는 이야기를 듣고 부지런히 접었던 기억이 있다. (소원은 이루어지지 않았지만… ) 이 종이학 속설은 일본에서 시작된 것으로, 센바즈루(千羽鶴) 즉 십장생 중 하나인 학을 1천 마리 접어 장수와 평화를 기원하는 선물로 주었다고 한다. 수심이 서린 여인의 모습과 종이학은 무언가를 걱정하고 바라는 듯한 인상을 준다. 여인의 손에 들려 있는 종이학을 어떻게 해석할 수 있을까. 타지에서 전하는 고국의 평안에 대한 기원? 혹은 박래현 개인의 염원? 아니면 단지 오브제 중 하나? 그저 추측만 해볼 뿐이다.
나는 이 작품이 그냥 슬프다. 그래서 좋다.
박래현은 어떤 마음으로 여인의 뒷모습을 그렸던 걸까. 자신에게 펼쳐질 미래를 조금이라도 예상했었을까. 큐레이터라는 꿈, 언젠가 해외에서 한국 미술을 공부하고 싶다는 바람, 그리고 또 임신을 기다리는 지금, 무언가를 원하고 바라고 있지만 오히려 가끔은 잠시 멈춰있는 것 같은 내 모습이 작품 속 여인과 겹쳐진다.
The Woman Before Everything
Park Rehyun, Woman, 1942
Park Rehyun (1920-1976), also known by her pen name Uhyang was a pioneering Korean female artist who played a key role in the modernization of Korean ink-wash painting (Hangukhwa). She is renowned for experimental approach to visual expression, blending traditional with innovation. Her artwork Open Stalls (1956), which received the Presidential Award at the 5th National Art Exhibition of Korea, is regarded as one of the representative pieces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MMCA).
However, this article focuses not on Park Rehyun’s representative works influenced by Cubism, but on one of her early pieces titled Women (1942), which clearly reflects the influence of traditional Japanese painting. Born in 1920 in South Pyongan Province (now part of North Korea), She moved with her family to Gunsan, South Korea, in 1925. After graduating from school, she entered Gyeongseong Women’s High School of Education, where she was encouraged to pursue “art” by the Japanese art teacher Eguchi Keishiro (江口敬四郞). Eguchi recognized Park’s artistic potential early on. Even after graduating from the school of education and working as a teacher, she continued to receive art instruction from Eguchi during school vacations. In 1939, at the age of twenty, she moved to Japan and enrolled in the Nihonga (Japanese ink-wash painting) department at the Women’s Academy of Fine Arts in Tokyo. This academy was renowned at the time and was also attended by notable modern Korean female artists such as Chun Kyungja and Baik Namsoon. While still a student, Park won the Governor prize at the 22nd Joseon Art Exhibition in 1943 for her painting Make-up (Danjang), marking early recognition of her talent. After graduation, she remained in Japan to continue her artistic practice and returned to Korea in 1945, just in time to witness the country’s liberation form Japanese colonial rule in Gunsan.
Park’s early works primarily consisted of female portraits in the Japanese painting style – a result of encouragement from a Japanese art teacher, her studies in Nihonga as a foreign student in Tokyo, and the broader context of colonial Korea. However, after Korea’s liberations, Japanese-style colored painting came to be regarded as a remnant of colonial influence, something to be purged from the Korea art world. In response, Park embraced Western modernist style and embarked on a series of bold visual experiments, eventually establishing a unique and personal artistic language. In 1969, at the age of fifty, she studied printmaking at the Pratt Graphic Art Center in the United States. Until her death at the age of 57, she continued to expand the possibilities of her artistic expression, navigating across diverse media.
Park was a painter, a colleague and wife of Kim Kichang, a mother of four, and an educator. She received the 6th Shin Saimdang Award in 1974 – an honor often associated with the ideal of the “wise mother and good wife” within Korea’s patriarchal ideology. While she may have embodied aspects of this image, it would be reductive to see her only through that lens. She navigated her many roles with composure and balance, steadily building a life that integrated both art and responsibility. She was devoted wife and mother, a pioneering artist who expanded the boundaries of Korean painting, and above all, a “New Woman” of her era.
Returning to the work Woman (1942), what drew my attention was that it feels like a piece created when Park was still simply a girl – not yet a mother, a wife, or a celebrated artist. This finely detailed portrait seems to demonstrate the strong foundational skills that underpinned her later transition from figurative art to abstraction. We tend to associate Pablo Picasso with deconstructive Cubist works like Les Demoiselles d’Avignon (1907), yet he was known to have possessed exceptional draftsmanship. When artists arrive at their own unique style, elements like originality, social interaction, coincidence, and luck may all play a part-but perhaps none of these matter without a solid technical foundation built over time. And maybe that applies not only to art but to life itself.
While seated female figures were a popular subject among painters of the time, depictions form behind – like in Park’s Woman-were rare. The woman’s neatly tied hair and graceful hanbok (Korean traditional dress) are delicately painted, yet her expression conveys a sense of worry or sorrow. One’s gaze is drawn to the paper crane held in her right hand. I recall hearing as a child that folding a thousand paper cranes and gifting them could make a wish come true. I remember folding them diligently – though I‘m not sure the wish ever did. The custom of folding a thousand cranes, known as sebazuru (千羽鶴), originated in Japan, where the crane – one of the ten symbols of longevity – represents wishes for long life and peace. The woman‘s pensive face and the crane in her hand seem to suggest an unspoken hope or quiet concern. How should we read this paper crane? A longing for peace in her homeland from afar? A personal wish of the artist? Or simply an object, no more than part of the composition? In the end, all we can do is wonder.
To me, this work simply feels sad. And perhaps that’s why I love it even more. What might Park have been feeling when she chose to depict the woman from behind? Did she have even the slightest sense of the future that awaited her?
Right now, I find myself wanting, longing – for a future as a curator, for a chance to study Korean art abroad, and for a child. But at times, I feel like I’m standing still, paused in between.
In that stillness, I see myself in the woman of this painting.
국립현대미술관, 『박래현 삼중통역자』 전시도록, 2020
Bibliography:
MMCA, PARK REHYUN RETROSPECTIVE Exhibition Catalogue, 2020